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하고 어떻게 가져오느냐는 측면입니다.
1)앱에 저장하는 경우
이경우는 고정적인 데이터인 경우에 적용합니다.
책, 음악, 그림 같은 경우가 됩니다.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려면 앱자체를 다시 다운받아야 합니다.
사용자에게 다소 불편합니다.
2)온라인 연동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바로 받아오는 것입니다.
많은 앱들이 이렇게 합니다. 요즘 Wi-Fi 접속 환경이 흔해졌고
3G도 무제한요금제가 생겼기에 이 방식이 더 활발해집니다.
장점은 웹사이트처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온다는 점입니다.
관리자 입자에서도 언제든지 데이터를 추가, 수정할수 있으므로
유리합니다.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는 네트워크부담을 줍니다.
동영상 같은 경우도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보여줍니다.
3) 업데이트 방식
ftp나 소켓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혹은 사용자가 업데이트요청을
할때 데이터를 다운받는 방식입니다.
신문사 어플들이 주로 이렇게 합니다.
잡지사 어플 같은 경우 이런 방식이 적합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