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0-08-28 12:47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8,229
|
DB가 있는 경우에 앱에서 DB를 어떻게 연동하나요 ?
1) 웹서비스를 호출하여 조회하는 방식
어플에서 DB를 직접 연동하지 않습니다.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웹서비스를 구성합니다.
웹서비스에서 통상 XML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합니다. RSS서비스가 그렇게 되어 있읍니다.
어플에서 웹서비스를 호출하여 XML을 파싱합니다. 스마트폰 기능은 보통 XML 파서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XML을 파싱한후 어플에 데이터를 보여줍니다.
2) 모바일 웹 페이지를 직접 보여주는 방식
일부 서비스는 모바일 웹 페이지를 구성한후 이것을 바로 링크만 하여 보여주기도 합니다.
모바일 웹페이지의 Look & Feel을 아이폰 UI와 비슷하게 구성하는 CSS를 이용하면 아이폰과
비슷한 느낌을 줍니다.
이 방식은 개발및 배포 측면에서는 1)번 방식보다 유리합니다. 앱을 배포하지 않아도 되고
웹만 추가 혹은 수정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터치감이나 화면 이동등이 어플보다 감이 약간 떨어집니다. 사용자가 느끼는 이 사소한
차이때문에 어플방식을 선호합니다. 과거에 윈도우어플리케이션과 웹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보면
UI측면에서는 웹어플리케이션이 윈도우어플리케이션의 편의성을 따라오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3) 어플과 웹뷰를 혼용하는 방식
이 방식은 1)번과 2)번을 혼용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목록은 XML로 받아서 어플방식으로 보여주고
상세화면은 웹뷰에 URL링크를 걸어주는 방식입니다. 상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여 보는 것과 링크로 보는 것은
서로 장단점이 있읍니다.
4)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어플에서 보는 방식
신문사 어플이 대개 이런 방식입니다. 오늘 신문 데이터를 모두 다운받은후에 로컬에서 언제든지 볼수 있게 해준다는 개념입니다. 이 방식은 ftp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폰에 저장합니다.
장점은 한번 받으면 접속하지 않고 여러번 볼수있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다운받는 시간이 꽤 걸릴수 있다는 점입니다. 네트웍 속도 사정에 따라 20초 ~ 60초 걸리는데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입니다.
한번 다운받은후 여러번 보는 내용의 경우는 이방식이 좋습니다. 예를들면 음악, 책, 동영상 같은 경우가 될것입니다. 그러나, 영화같은 경우는 데이터용량이 커서 많이 저장이 어려우므로 차라리 N드라이브, 2nd드라이브 같은데 저장해놓고 스트리밍으로 보는 것이 낫습니다. 폰의 저장공간이 PC처럼 방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데이터의 조회 측면에서는 위와 같은 방식이 있습니다.
|
|